본문 바로가기

my life

AI 홍수 예보시스템 도입 3시간 전→6시간 전 예보로

728x90

정부가 2030년까지 약 145조원 규모의 투자·연구개발(R&D) 지원을 통해 기후테크 분야 유니콘 기업 10개를 육성한다. 기후재난에 대한 선제적 대응, 기후위기 취약계층 보호를 대폭 보강한 기후위기 적응 강화대책을 발표했다.

폭염‧한파 등 기후위험지도를 제공하고 인공지능(AI) 홍수예보 시스템을 도입한다. 내년에 홍수예보시스템은 기존의 3시간 전에서 6시간 전 예보로 바꾼다.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공동위원장: 한덕수 국무총리, 김상협 카이스트 부총장)는 22일 정부 서울청사에서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2023년 제4차 전체회의를 개최하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대책을 발표했다

 

.기후테크 산업은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변화 적응 기술을 활용하는 연관 산업을 총칭한다. 탄소중립 혁신기술 확보와 상용화를 선도하는 주역이다.

기업의 탄소중립 선언과 ‘환경·사회적 책임·투명한 지배구조(ESG)’ 경영 등 기후테크 산업에 대한 글로벌 투자는 확대되고 있다. 기후테크 시장을 선점할 필요가 있다고 정부는 판단했다.

기후테크 산업 육성을 위해 R&D·투자 확대, 국내·외 시장 개척 지원 및 성장기반 강화를 추진하고 이를 통해 2030년까지 유니콘 기업 10개 육성, 수출규모 100조 달성, 신규 일자리 10만개를 창출할 계획이다.

산업기술혁신펀드 내 전문펀드와 초격차 펀드를 신설해 4천억원 이상의 정책펀드를 조성한다. 기업형 벤처캐피탈(CVC), 임팩트 투자 등 기업 ESG 활동과 연계한 2천억원 규모의 민간 투자를 활성화한다.

기업 스케일업을 위한 융자보증 등 기후금융도 2030년까지 8조원 규모로 확대한다. 기후테크 산업 인증, K-택소노미 연계인증을 통해 약 135조원 규모의 민간 5대 금융그룹의 투자도 유치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유망 기후테크 기술이 산업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기술개발, 실증, 사업화 과정을 연계한 1조원 규모의 기후문제 해결형 대규모 R&D 신설을 추진한다.

혁신조달 연계, 규제혁신 등을 통해 초기수요를 견인해 조속한 사업화를 지원하고 이를 토대로 해외시장 진출을 적극 지원, 수출규모 100조 달성을 추진한다.

 

기후재난 선제대응과 취약계층 보호 등 현장의 수요를 적극적으로 반영한‘제3차 국가 기후위기 적응 강화대책’을 마련했다.

읍면동 단위로 상세화한 기후변화 상황지도와 폭염, 한파, 가뭄 등 10개 위험요인별로 시각화된 기후위험지도를 제작하고 기후적응정보와 위험도 평가시스템을 통합 제공하는 기후적응 종합 정보플랫폼을 구축한다.

기후재난 조기경보(Early Warning)를 고도화해 재난대응의 골든타임을 확보한다. AI 홍수예보 시스템 도입으로 예보 시간을 단축(3시간 전→6시간 전)하고 선제적 산불 대비를 위해 기존 단기(3일전)만 제공하던 산불예측 정보를 중기(7일전), 장기(1개월전)까지 제공한다.

기후위기 취약계층에 대한 국가적 보호를 강화한다. 기후위기 취약계층 실태조사를 최초로 실시하고 재해취약주택 정비 및 거주자 이주지원, 취약계층 에너지비용 경감도 적극적으로 추진한다.

기후위기 적응을 위한 제도와 거버넌스를 강화한다. 지자체의 재난안전예산 실적(예·결산액)을 소방안전교부세 교부기준에 반영해 지자체의 재난안전예산 투자를 강화한다.

기후위기 적응 대책 추진을 위한 법적기반을 강화하고 이행주체별(시민․ 청년단체)․부처별 기후적응 협의체 운영을 통해 각 부문별 협력을 강화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