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nnocence

구글 로고에 나온 25명의 유명인들

728x90

휑한 구글로고를 보고 있으면 묘한 마력이 있습니다. 휑한 구글첫페이지에 구글로고가 가끔 변신을 하는데
그런 변신한 구글로고를 보면 오늘 또 누가 태어난날인가? 하고 찾아 볼때가 있죠. 구글은 여러가지 이유로 구글로고를 치장합니다. 구글에서 생각하기에 특별한 날이라고 생각되는 날은 구글로고를 치장하는데요. 가끔 세계유명인들의 생일이나 사망일에 구글로고가 변신을 하죠. 그렇다고 아무 위인이나 유명인들을 위해 하는것은 아닙니다. 세계적으로 추앙받고 인류역사에 큰 공헌을 한 아티스트, 건축가, 과학자들만 나오게 합니다.

휑한 구글로고를 보고 있으면 묘한 마력이 있습니다. 휑한 구글첫페이지에 구글로고가 가끔 변신을 하는데
그런 변신한 구글로고를 보면 오늘 또 누가 태어난날인가? 하고 찾아 볼때가 있죠. 구글은 여러가지 이유로 구글로고를 치장합니다. 구글에서 생각하기에 특별한 날이라고 생각되는 날은 구글로고를 치장하는데요. 가끔 세계유명인들의 생일이나 사망일에 구글로고가 변신을 하죠. 그렇다고 아무 위인이나 유명인들을 위해 하는것은 아닙니다. 세계적으로 추앙받고 인류역사에 큰 공헌을 한 아티스트, 건축가, 과학자들만 나오게 합니다.


오늘 Pingdom 이라는 블로그가 25명의 유명인을 소개한 글이 있어 여기에 소개합니다.

구글로고에 나온 25명의 유명인들




1. 르네 마그리드 (1898 - 1967)

살바도르 달리와 함께 초현실주의 대가였던 화가 르네 마그리드 2008년 11월 21일에 구글로고에 올랐습니다



2. 마르크 샤갈 (1887 - 1985)

러시아 태생 유대인화가 마르크 샤갈 샤갈은 현대미술을 개척한 위대한 화가중 한 사람이죠. 하늘을 나는 연인도 보이는군요
2008년 7월 7일에 구글로고로 쓰였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3. 디에고 벨라스케스(1599 - 1660)

디에고 벨라스케스는 궁중화가였습니다. 이전의 그림과 다르게 정밀한 묘사와 당시 유럽왕궁의 실생활과 문화 삶을 세세한 붓터치로 그려서 17세기 위대한 화가가 되었습니다. 2008년 6월 6일에 구글 로고로 쓰였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4. 월터 그로피우스(1883 - 1969)

저는 첨 들어 보는 이름인데 현대건축의 아버지라고 불리울정도로 현대건축의 대가이자 건축학교 바우하우스를 설립한 분이라고 하네요 구글 로고로 2008년 5월 18일날 쓰였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5. 알렉산더 그레헴 벨 (1847 - 1922)

설명이 필요없죠. 전화기를 발명한 사람입니다. 사실은 다른사람이 먼저 거의 동시에 발명했는데 먼저 특허를 내서 전화기
발명을 인정하게 됩니다. 2008년 3월 3일 구글로고로 쓰였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6. 루치아노 파바로티 (1935 - 2007)

작년에 돌아가신 세계적인 오페라 가수 루치아노 파바로티입니다. 2007년 12월 12일 구글로고로 쓰였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7. 유리가가린 (1934 - 1968)

세계 최초의 우주인 구 소련의 유리가가린도 구글로고에 등장했었군요. 2007년 4월 12일날 선보였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8. 에드바르트 뭉크 (1863 - 1944)

우리에게는 절규로 가장 잘 알려진 노르웨이의 상징주의 화가 뭉크입니다. 2006년 12월 12일 사용되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9. 코난 도일 (1859 - 1930)

가장 유명한 추리소설 주인공 셜록 홈즈를 만든 코난도일 2006년 5월 22일 로고로 쓰였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10. 퍼시벌 로웰 (1855 - 1916)

밑의 로고에 나오는 외계인들은 자주 등장하네요. 이 사람은 국내에는 별로 알려져 있지 않은데
미국의 유명한 천문학자로 화성연구로 유명한 사람입니다. 19세기에 조선에도 왔다 갔었네요
2006년 3월 13일에 구글로고로 쓰였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11.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짜르트 (1756 - 1791)

설명이 필요없죠. 2006년 1월 27일에 로고로 쓰였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12. 마틴 루터 킹 (1929 - 1968)

흑인인권 운동가이자 노벨평화상을 받은 루터 킹 로고는 2006년 1월 16일 등장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13. 루이스 브라유 (1809 - 1852)

시각장애인들에게 눈을 달아준 점자를 만든 프랑스인 입니다. 구글은 이런 분들을 잘도 찾아내는군요. 정말 놀라운 발명이죠 .2006년 1월 4일 구글로고로 쓰였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14.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 (1867 - 1959)

미국의 유명 건축가 입니다. 2005년 6월 8일 구글로고의 주인공이 되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5. 레오나르도 다빈치 (1452 - 1519)

이분도 따로 설명할 필요가 없을정도로 유명한 화가이자 발명가 건축가였습니다. 2005년 4월 15일 쓰였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16. 빈센트 반 고흐 1853 - 1890)

인상파 화가 고흐도 구글이 놓칠리가 없죠. 세계에서 가장 사랑받는 화가 고흐, 2005년 3월 30일날 로고에 등장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17. 레이 찰스(1930 - 2004)

미국의 째즈싱어이자 피아니스트인 그는 시각장애를 극복한 인간승리의 상징이기도 했습니다
2004년 9월 23일 로고로 쓰였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18. 가스통 줄리아 (1893 - 1978)

프랑스의 유명수학자라고 하는데 첨 들어 봅니다. 카오스이론과 프랙탈 도형을 설명하는 줄리아집합을 만든 수학자라고 하네요
2004년 2월 3일 로고로 쓰였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19. 알프레도 히치콕 (1899 - 1980)

영화감독중 처음으로 등장했군요. 당연히 올라야 할 사람이죠. 가장 위대한 영화감독중 한명인 히치콕
그의 작품 새가 로고에 등장했네요 2003년 8월 13이날 구글로고로 쓰였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20. M.C 에셔 (1898 - 1972)

독일의 그래픽 화가인데 수학적인 기하학적인 모습을 그림으로 만들어서 유명해진 분이죠.
검색해서 보시면 그의 작품들중 하나 이상은 보셨을 것입니다. 2003년 6월 16일 로고로 쓰였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21. 아인슈타인 (1879 - 1955)

20세기 최고의 과학자인 아인슈타인 물리학의 세계를 확 뒤집은 사람입니다. 2003년 3월 14일 로고로 쓰였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22. 미켈란젤로 (1475 - 1564)

다비드상으로 유명한 조각가이자 건축가이자 화가인 그는 다빈치하고 비교가 자구 되었죠. 르네상스의 대표적인 화가입니다.
2003년 3월 6일 구글 로고로 쓰엿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23. 파블로 피카소(1881 - 1973)

그림을 이해 못하면 피카소그림 같다고 하죠. 입체파화가인 파블로 피카소는 그림에 대한 관념을 확 바꾼
화가입니다. 2002년 10월 25일날 로고로 쓰였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24. 앤디 워홀 (1928 - 1987)

미국 팝아트화가 앤디워홀이 2002년 8월 6일에 구글 로고의 주인공이 되었네요. 이때는 구글이 있는지도 모르던
시절이었는데요. 참 일찍도 구글로고에 등장하셨네요.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25. 몬드리안 (1872 - 1944)

구상화만 있던 미술에 추상이라는 개념을 심은 칸딘스키와 함께 거론되는 화가가 바로 몬드리안입니다.
이 분이 가장 먼저 구글로고에 등장한 인물이군요. 2002년 3월 7일 구글로고에 쓰였습니다.
구글 창업자가 좋아하는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