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엘 번역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구글·네이버 위협하는 딥엘(DeepL) 번역기, 한국어 버전 품질은? 2016년 인공신경망 번역이 적용되기 이전의 번역기는 구문 기반 기계번역(PBMT)을 사용했다. 글의 형태와 단어만으로 내용을 번역하니 품질이 떨어지고, 앞뒤가 맞지 않았다. 반면 인공신경망 번역은 웹에서 수집된 데이터로 단어와 문장의 문맥을 분석한 다음 번역하기 때문에 품질이 훨씬 뛰어나다. 다만 한국어는 우리나라에서만 사용해 데이터가 부족하고, 또 로마자 기반 언어와 체계가 달라서 번역 품질이 좋지 않다. 그래서 지금까지는 데이터베이스 확보가 용이한 구글과 네이버가 국내 기계번역 시장을 양분하는 상황이었다. 딥엘(DeepL), 독자적인 인공신경망으로 한국어 번역 접근 이미 구글과 네이버가 시장을 독식하고 있는 상황이지만, 지난 1월 독일의 인공지능 커뮤니케이션 기업 딥엘(DeepL)이 양강 구도의 시.. 더보기 이전 1 다음